헤롯대왕 곧 아기 예슈아를 죽이려고 혈안이 되었었던 인물에 대해 최근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헤롯은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했다. 유대인들에게 환심을 얻기 위해 무척 화려한 성전을 건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전 벽돌들마다 금박을 입혔기에 성전을 파괴하려던 당시 돌 한 장 남기지 않고 금박이를 떼어내려고 모두 파괴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헤롯(을 비롯한 솔로몬이나 스룹바벨)이 건축한 그 예루살렘 성전(이후 헤롯 성전)은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물로 바치려던 모리아 산이며, 다윗이 여부스 사람에게서 값을 지불하고 매입한 타작마당에 세워졌다. 헤롯대왕에 관한 내용을 조사를 하던 중이지만 오늘은 성전이 세워진 장소와 타작마당이라는 특이한 장소의 연결성에 마음이 끌린다. 그래서 이 두 단어는 왜,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이해하고 싶다는 마음이 생겨서 오늘의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 40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네 시골에서 흔히들 볼 수 있었던 장면인데, 자신들이 수확한 곡식 중에서 알곡과 그 안에 섞여 있는 가라지(or 티끌)를 나누기 위해 키질(winnowing) 하는 수확기의 모습이 그것이다. Brainly.ph | 키질을 보다 더 잘하려고 높은 곳을 찾았는데, 그 이유는 바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농부는 반드시 높은 장소(언덕)를 찾아서 키질을 한다. 이때 불어오는 바람은 알곡과 가라지를 동시에 밀게 되는데 무거운 알곡은 농부가 서 있는 그곳에 떨어져서 그자리에 머문다. 한편 가라지는 바람이 밀어대는 힘에 의해 농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날아가 버린다. 이때 둘 간의 차이는 '바람의 영향을 누가 많이 받았는가?'에 있다. 수확기에 불어오는 바람 또는 알곡과 가라지를 나누기 위해 키질을 하는 농부에게 있어서 그 바람은 알곡을 겨냥으로 한 바람이 아니다. 이 사실을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 토지는 지면에 있다. 그래서 농부의 추수는 지면에서 이루어진다. 추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