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롯대왕 곧 아기 예슈아를 죽이려고 혈안이 되었었던 인물에 대해 최근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헤롯은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했다. 유대인들에게 환심을 얻기 위해 무척 화려한 성전을 건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전 벽돌들마다 금박을 입혔기에 성전을 파괴하려던 당시 돌 한 장 남기지 않고 금박이를 떼어내려고 모두 파괴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헤롯(을 비롯한 솔로몬이나 스룹바벨)이 건축한 그 예루살렘 성전(이후 헤롯 성전)은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물로 바치려던 모리아 산이며, 다윗이 여부스 사람에게서 값을 지불하고 매입한 타작마당에 세워졌다. 헤롯대왕에 관한 내용을 조사를 하던 중이지만 오늘은 성전이 세워진 장소와 타작마당이라는 특이한 장소의 연결성에 마음이 끌린다. 그래서 이 두 단어는 왜,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이해하고 싶다는 마음이 생겨서 오늘의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 40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네 시골에서 흔히들 볼 수 있었던 장면인데, 자신들이 수확한 곡식 중에서 알곡과 그 안에 섞여 있는 가라지(or 티끌)를 나누기 위해 키질(winnowing) 하는 수확기의 모습이 그것이다. Brainly.ph | 키질을 보다 더 잘하려고 높은 곳을 찾았는데, 그 이유는 바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농부는 반드시 높은 장소(언덕)를 찾아서 키질을 한다. 이때 불어오는 바람은 알곡과 가라지를 동시에 밀게 되는데 무거운 알곡은 농부가 서 있는 그곳에 떨어져서 그자리에 머문다. 한편 가라지는 바람이 밀어대는 힘에 의해 농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날아가 버린다. 이때 둘 간의 차이는 '바람의 영향을 누가 많이 받았는가?'에 있다. 수확기에 불어오는 바람 또는 알곡과 가라지를 나누기 위해 키질을 하는 농부에게 있어서 그 바람은 알곡을 겨냥으로 한 바람이 아니다. 이 사실을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 토지는 지면에 있다. 그래서 농부의 추수는 지면에서 이루어...
우리는 "인격적이다"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그러면 인격이란 무엇일까? 상대방의 생각은 아랑곳 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만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보면 모두가 비인격적이라 말한다. Photo by Sagar Dani on Unsplash 어떤 신사분이 상대의 말을 잘 들어주고 그런 대화 속에서 서로간의 생각을 조화롭게 만들어 나갈 때, 우리는 인격적이라고 말한다. pixabay 나의 생각 또는 나의 상황에는 안중에 없고 오직 자신만의 것을 일방적으로 전달할 때, 이것을 주입식 교육이라 말한다. Medium 주입식 교육을 받고 자란 세대는 자녀를 대할 때, 인격적으로 대하기 어렵다. 자신이 경험한 것은 그저 주입식 교육이고 어느 누구에게서도 인격적인 대우를 받아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자기 자녀에게 보여 줄 수 있는 모습은 단지 주입식 교육 뿐이다. 예슈아로부터 인격적인 대우를 받아 본, 그런 간증이 있는 이들은 다르다. 이전과 전혀 다른 변화된 모습으로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다. 그들도 이전에는 사람들을 비인격적으로 대했다. 특히 자녀에게는 더더욱. 허나 예슈아를 만난 직후부터 예슈아를 만나는 횟수가 늘어갈 수록 자녀를 대하는 부모된 자신의 모습이 바뀐다. 자녀를 인격적으로 대하는 모습으로. Photo by Manu Camargo on Unsplash 인격적으로 대하는 부모란 곧 성령의 열매를 맺었거나 맺어가는 삶을 사는 이들이다. 자신이 애써서 맺은 극상품의 열매를 자녀에게 먹이는 이는 훗날 그 자녀가 성인이 되고 자신은 힘없는 노인이 되었을 때, 자신의 자녀로부터 극상품의 열매를 받아 먹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부모를 인격적으로 대하는 자녀 된 이의 참된 모습이다. 이런 자녀가 "부모를 공경하라"는 계명을 진정으로 기쁘게 지켜 행하는 이들이다. 내가 예슈아를 만나 변화되어야 우리의 자녀에게 인격적인 대우를 할 수 있고, 그렇...
여성의 심리를 표현한 그림입니다. 나쁜 남자를 좋아하는 그 심리를 그림으로 재미있게 표현했군요. https:// feedclick.net/issue/280318 그런데 이 그림에 대해 더 정확히는 여성의 심리를 누구보다 정확하게 설명해 놓은 댓글이 있네요. 그래서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 네이버 뿜 누군가의 의견에 맹종하듯 따르는 그 모습에 대해 (개인적 생각이지만) 정확히 보았다고 생각됩니다. 상대 위주의 연애 방식이 착한 게 아니다. 그렇다. 로보트(노예) 역시 상대방 위주의 행동을 하는 것처럼, 그런 모습을 착한 심성과 연결지을 순 없다. 단 착한 자는 상대를 배려하지만 아부하지 않는 당당함 역시 동시에 소유하는 그런 마음의 소유자다. 신앙인의 모습 역시 마찬가지라 생각되기에, 함께 나눠봅니다.
댓글
댓글 쓰기